전체 글(26)
-
브랜드 유니버스를 탐험하는 주인공을 "고객"이라고 한다. (1/2)
직접 경험 영역은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영역이다. 여기서 브랜드 경험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 경험은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이어서 이 경험의 과정을 고객의 ‘여정’ 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여정에는 주체가 있기 마련이다. 고객이 여정을 하니 당연히 이 여정의 주체는 고객이다. 브랜드는 고객의 여정을 위한 판을 깔아주는 역할을 한다. 직접 경험 영역은 고객의 입장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고객의 입장이라는 말은 이제는 진부하게 들리지만 이것은 고객을 배려한다는 수준이 아니다. 완전히 주인공으로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브랜드가 얼마나 훌륭하고 진정성이 있는지 등은 일단 뒤로 미뤄두자. 고객이라는 사람이 어떤 문제를 만나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떤 결론에 이를지에만 초점을 맞추자. 이를 위해 여기서는 스토리에서 ‘인..
2023.12.07 -
브랜드 유니버스에 "거주"하다.
브랜딩과 마케팅의 성공은 고객이 브랜드 유니버스에 거주하게 만드는 것이다. 거주란 결국 반복적 구매를 하거나 브랜드의 팬이 되거나 하는 것이다. 한 브랜드에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하는 것이다. 고객이 브랜드 유니버스에 거주하게 되는 과정은 다른 포스트에서 다루었다. 여기서는 고객이 브랜드 유니버스에 거주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 다루는 것보다 훨씬 많은 아이디어와 실제 실행 사례들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원칙적인 내용과 함께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경험 설계의 원칙 : 익숙함, 생명력, 새로움 우선 구체적인 방법을 살피기 전에 보다 원칙적인 수준에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거주'는 어떤 속성이 있을까? 실제 '거주'라는 개념에서 브랜드 유니버스로의 거주에 대한 힌트를 ..
2023.07.18 -
우리가 브랜드 유니버스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
우리는 어떤 영역에서 한 브랜드르 선택한다. 예를들어 핸드폰 케이스와 보호필름을 아무데서나 사는 사람도 있지만 여러 브랜드를 써보다가 가 하나의 브랜드에서 계속 사는 경우도 있다. 이 브랜드의 제품에 만족하고 신뢰하기 때문이다. 유산균 같은 건강기능식품도 상당히 많은 브랜드가 있는데 이것저것 사먹다가 하나의 브랜드에 정착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브랜드 유니버스에 '거주'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브랜드로 간다면 '이주'라고 할 수 있다.) 이 '거주'라는 개념을 생각하면 내 브랜드에 고객이 오랫동안 머물도록 해야한다는 관점을 가질 수 있고, 이 관점으로 브랜드 유니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우리가 브랜드 유니버스에 살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러려면 우리가 ..
2023.07.04 -
어느 브랜드 세계에 살고 계시나요?
우리가 브랜드를 인식하게 되는 것은 상품 즉, 제품과 서비스 때문이다. 만져보고, 입어보고, 먹어보고, 경험하면서 브랜드를 실체를 경험하게 된다. 다른 포스트에서 다룬 철학의 영역은 브랜드의 존재 이유가 되고 차별적 개성을 만들어주지만 추상적인 생각이 경험을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사랑하는 커플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 데이트를 하고, 사랑한다 말하고, 기념일을 챙기고 육체적인 터치도 있어야 한다. 이것이 애인 또는 부부라는 관계를 만들어준다. 가전 브랜드라면 가전 제품이 있어야 하고, 헤어샵 브랜드라면 헤어컷 서비스가 있어야 한다.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이 당연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브랜드의 철학과 같은 추상영역과 비교되는 개념이기에 이곳을 구체영역, 그 중에서도 직접경험영역이라고 부른다. 이 곳..
2023.06.20 -
행동철학 만들기 (3/3)
브랜드 경험 중 마지막에 남는 감성이 핵심감성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개인 사이의 대화도 목적은 공감 또는 설득이다. 커뮤니이션의 재료는 정보이고, 정보를 묶기 위해 스토리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토리로 공감과 설득이 이루어지는데 공감과 설득의 내용은 결국 감성이다. 예를 들어, '내가 이 자리에서 사람들을 웃기겠다.' 라고 결심하면 얼마전에 겪었던 웃기는 에피소드들을 끌어올 것이고 여기에 적당히 과장도 섞는다. 이게 재료다. 이 재료를 흥미진진하게 엮으면 스토리가 된다. 그리고 마침내 스토리를 들려주고 사람들을 웃기게 되는데 이 때 사람들에게 태도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태도의 변화'라는 말이 거창해보이지만 사람의 감정이 바뀐다는 의미이다. 이 때 이 자리의 전반적인 감성은 '유머러스함', '..
2023.06.12 -
행동철학 만들기 (2/3)
이 글은 행동철학 만들기의 첫번째 팁에 이은 두번째 팁이다. 첫번째 팁 : 핵심철학을 중심으로 행동철학 수립하기 https://branduniverse.tistory.com/20 2. 히스토리에서 영감 얻기 행동철학을 수립하는 또 다른 방법은 브랜드의 히스토리에서 해야할 일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것은 브랜드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설정한다는 측면에서 첫번째 팁과 같지만 그 출발지점이 다르다. 기업의 히스토리에서 행동철학 찾기 애플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창고에서 시작한 애플의 탄생 스토리는 너무나도 유명하다. 스티브 잡스의 또래 사람들은 당시 히피 문화에 심취해 있었으며 스티브 잡스도 이러한 문화에 참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히피 방식의 변화에 한계를 느낀 스티브 잡스는 도구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방법..
2023.06.05